본문 바로가기
info

장과 면역 – 자가면역질환과 장의 관계 [7편]

by info.editor 2025. 4. 23.
반응형

장과 면역 – 자가면역질환과 장의 관계

면역력은 단순히 감기 예방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우리 몸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면역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때때로 이 면역이 내 몸을 공격하기 시작하면 그것이 바로 자가면역질환입니다. 놀랍게도 많은 자가면역질환의 뿌리는 ‘장’에 있으며, 특히 장 점막이 손상되면 면역 시스템이 과잉 반응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능의학적 관점에서 장과 면역의 밀접한 관계를 설명하고, 장 회복을 통한 자가면역 예방과 개선 전략을 소개합니다.

면역세포의 70%는 ‘장’에 존재한다

장의 역할은 단순한 소화 기능을 넘어, 면역의 중심입니다. 장 점막에는 면역세포의 약 70%가 존재하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음식물, 세균, 독소를 걸러내고 필요한 것만 흡수하도록 작동합니다.

하지만 장벽이 손상되면, 미세한 단백질이나 독소가 혈류로 누출되어 면역 시스템을 혼란에 빠뜨리고, 결국 자가항체를 생성해 자기 조직을 공격하게 됩니다.

장 점막 손상이 자가면역을 유발하는 메커니즘

  1. 장 점막 손상 → 음식 단백질, 독소 누출
  2. 면역계가 이를 ‘외부 침입자’로 인식
  3. 반복 노출 시, 유사한 구조의 내 장기나 세포도 공격
  4. 자가항체 생성 → 자가면역질환 유발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과 장의 연관성

질환 연관된 장 기능 문제
류마티스 관절염 장누수, 장내 유해균 과다
갑상선 자가면역염 (하시모토) 글루텐 민감성, 장 점막 염증
건선, 아토피 지연성 알레르기, 장내 독소 누출
루푸스 장내 미생물 불균형, 염증성 환경

장 회복을 통한 면역 균형 회복 전략

1. 유해 음식 제거

  • 글루텐, 유제품, 설탕, 가공식품 회피
  • 지연성 알레르기 반응 높은 음식 제거 (IgG 검사 활용)

2. 장 점막 회복

  • L-글루타민, 아연, 비타민 A·D·E
  • 항염 식단: 연어, 녹황색 채소, 올리브유, 블루베리

3. 장내균총 균형 잡기

  • 프로바이오틱스 보충 (다균주 + 고함량)
  • 프리바이오틱스 섭취: 귀리, 치커리, 양파

4. 스트레스·수면·운동 관리

코르티솔 과다 → 면역 억제 유발 → 자가면역 악화 → 규칙적 수면, 가벼운 운동, 명상 등으로 조절

FAQ: 자가면역과 장 건강

Q. 자가면역 질환은 유전인가요?
A. 유전적 요인이 있지만, 환경(장 건강, 식습관, 스트레스)이 발현을 결정합니다.
Q. 장 건강 회복으로 자가면역이 완치되나요?
A. 완치는 어렵지만, 증상 완화와 면역 안정에는 큰 도움이 됩니다.
Q. 자가면역약과 장 영양제를 병행해도 되나요?
A. 대부분 가능합니다. 복용 간격을 두고 의사 상담 병행을 권장합니다.
Q. 장 점막 회복은 얼마나 걸리나요?
A. 개인차 있지만 보통 4~12주 이상 소요됩니다.

맺음말

면역의 시작은 ‘장’에서 시작됩니다. 건강한 장 점막은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을 조율하고, 자가면역의 불씨를 꺼뜨릴 수 있는 핵심 요소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장과 정신건강 – 장뇌축(Gut-Brain Axis)의 모든 것"을 통해 장의 상태가 감정과 뇌 기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장과 면역 – 자가면역질환과 장의 관계

📚 장건강 시리즈 전체 보기

  1. 1편: 장누수증후군의 초기 증상과 자가진단법
  2. 2편: 장을 망치는 음식과 습관
  3. 3편: 장내 유익균 vs 유해균 – 장내균총의 불균형
  4. 4편: 장 건강을 회복하는 4단계 전략
  5. 5편: 장 건강 식단 가이드 – 먹어야 할 것과 피해야 할 것
  6. 6편: 장 건강 영양제 TOP 5
  7. 7편: 장과 면역 – 자가면역질환과 장의 관계
  8. 8편: 장과 정신건강 – 장뇌축(Gut-Brain Axis)의 모든 것
  9. 9편: 어린이 장 건강 관리법
  10. 10편: 건강검진으로 장 상태 알 수 있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