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

고혈압 기준은 몇 mmHg? 내가 고혈압인지 확인하는 법 [혈압 관리 실전 가이드 시리즈] 1화

by info.editor 2025. 5. 8.
반응형

고혈압 기준은 몇 mmHg? 내가 고혈압인지 확인하는 법

건강검진에서 “혈압이 조금 높으시네요”라는 말을 들으면 당장 걱정부터 앞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막상 내 혈압이 정상인지, 고혈압인지,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혈압의 기준, 단계별 분류, 혈압 측정 시 주의사항을 정리해드릴게요. 내 상태를 스스로 점검하고, 언제 병원을 방문해야 할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겁니다.

1. 고혈압이란 무엇인가요?

고혈압은 혈관을 흐르는 혈액의 압력(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심장은 혈액을 전신에 보내기 위해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이 압력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가 반복되면 혈관에 손상을 주고, 결국 심장병, 뇌졸중, 신장 질환의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2. 고혈압 기준 – mmHg 수치로 정확히 확인하기

혈압은 두 개의 수치로 표시됩니다:

  • 수축기 혈압 (최고 혈압): 심장이 수축하며 혈액을 밀어낼 때의 압력
  • 이완기 혈압 (최저 혈압): 심장이 이완될 때 혈관 내에 남은 압력

고혈압 단계별 기준 (대한고혈압학회 2024년 기준)

구분 수축기(mmHg) 이완기(mmHg)
정상 < 120 < 80
주의 혈압 120–129 < 80
1단계 고혈압 130–139 80–89
2단계 고혈압 140 이상 90 이상

단, 혈압은 하루에도 여러 번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여러 날, 일정한 조건에서 반복 측정해야 정확합니다.

3. 고혈압 진단은 언제 받나요?

병원에서는 보통 2회 이상의 진료일에, 안정 상태에서 측정된 수치가 고혈압 기준을 지속적으로 초과할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합니다.

자가 측정 시 주의사항

  • 앉은 자세에서 5분 이상 안정 후 측정
  • 커피, 운동, 담배 후 30분 이내 측정 금지
  • 팔과 심장 높이가 같게, 혈압계는 올바른 팔 크기에 맞춰 착용
  • 최소 3일 이상, 매일 아침·저녁 2회씩 측정해 평균값을 확인

고혈압을 의심한다면 자가 측정값을 기록해서 병원에 제시하면 진단과 약물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고혈압이 위험한 이유

고혈압 자체는 자각증상이 거의 없지만, 조절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뇌졸중 (출혈성·허혈성)
  • 심근경색, 협심증
  • 만성 신장질환
  • 망막 손상으로 인한 시력 저하

특히 2단계 고혈압 이상에서 치료를 미루면 수년 내 심혈관 사건 발생 확률이 크게 증가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혈압이 한 번 135/85 나왔는데 고혈압인가요?

아닙니다. 단 1회의 측정만으로는 진단이 어렵습니다. 일정한 시간대에, 반복 측정해 평균값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 고혈압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Q. 이완기만 높고 수축기는 정상이면 고혈압인가요?

이완기 혈압이 90 이상이면 단독 고혈압(이완기성)으로 분류되며 젊은 층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역시 조기 관리가 필요합니다.

Q. 진료실에서만 혈압이 높게 나와요. 괜찮은가요?

이를 백의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이라고 합니다. 집에서는 정상이지만 병원에서만 높게 나올 수 있으며, 자가 측정 기록이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맺음말

고혈압은 소리 없는 질병입니다. 내 혈압 수치를 알고, 기준을 명확히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심혈관 질환 예방의 첫 걸음이 됩니다.

다음 회차에서는 “혈압을 낮추는 생활습관 5가지 – 실천 방법 중심”을 통해 실제로 수치를 낮추는 행동 전략을 제시해드릴게요.

👉 이어서 보기:
2화: 혈압을 낮추는 생활습관

고혈압 기준은 몇 mmHg? 내가 고혈압인지 확인하는 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