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복 혈당 90이 넘는다면 이미 염증이 시작된 것
건강검진 결과에서 공복 혈당이 90~99mg/dL 사이로 나오면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정상”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기능의학 관점에서는 이 범위를 대사 위험군의 시작으로 해석합니다. 이미 몸속에서는 인슐린 저항성과 조용한 염증이 시작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복 혈당 수치를 통해 알 수 있는 초기 대사 이상 신호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안내합니다.
공복 혈당 수치, 어디까지가 안전한가?
공복 혈당 수치 | 의료 기준 | 기능의학 해석 |
---|---|---|
70~89 mg/dL | 정상 | 이상적 범위, 염증 가능성 낮음 |
90~99 mg/dL | 정상 | 인슐린 저항 초기 단계 |
100~125 mg/dL | 공복 고혈당 (당뇨 전단계) | 염증성 대사질환 고위험군 |
126 mg/dL 이상 | 당뇨병 | 혈당 조절 시스템 손상 |
혈당 상승 = 조용한 염증의 시작
공복 혈당이 90을 넘는다는 것은, 간에서 포도당 생산을 억제하는 인슐린의 기능이 둔화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체내에서 이미 저강도 염증반응(low-grade inflammation)이 활성화되었음을 뜻하며, 장기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체중 증가, 특히 복부 비만
- 만성 피로, 수면 장애
- 지속적인 식욕 증가, 당 중독
- 혈압 상승, 콜레스테롤 이상
- 비알코올성 지방간
기능의학적 혈당 관리 핵심 전략
- 아침 식사 내용 바꾸기 – 정제 탄수화물 대신 단백질 + 건강한 지방 위주 구성 예: 삶은 계란 + 아보카도 + 채소 + 견과류
- 식후 걷기 습관화 – 식사 후 15분 걷기 → 혈당 급등 억제
- 수면 7시간 이상 확보 – 수면 부족은 인슐린 저항성 악화 요인
- 간헐적 단식 12:12 또는 14:10 – 혈당 안정화에 효과적
- 항염 영양소 섭취 – 마그네슘, 크롬, 오메가3, 시나몬 추출물 등
혈당 안정화에 도움이 되는 식품
- 아보카도 – 혈당 지수 낮고 포만감 높음
- 브로콜리 – 설포라판, 항산화 성분 풍부
- 등푸른 생선 – 인슐린 민감도 향상
- 견과류 – 식사 시 혈당 상승 억제 효과
- 귀리 – 베타글루칸 풍부, 식후 혈당 안정화
FAQ: 공복 혈당 관련 질문
- Q. 공복 혈당이 95인데 문제인가요?
- A. 병원에서는 정상으로 보지만, 기능의학에선 인슐린 저항 초기로 판단하고 관리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 Q. 혈당 관리만으로도 염증이 줄어드나요?
- A. 네, 혈당 안정은 염증, 간 건강, 호르몬 균형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Q. 건강한 사람도 혈당 측정이 필요한가요?
- A. 반복적인 피로, 잦은 허기, 집중력 저하 등이 있다면 정기적인 체크를 권장합니다.
- Q. 약 없이도 혈당을 낮출 수 있나요?
- A. 초기 단계에서는 식습관, 수면, 운동으로 충분히 개선 가능하며, 약물은 그 이후 고려됩니다.
맺음말
공복 혈당이 90을 넘는다는 것은 단순히 숫자 이상의 의미입니다. 당장 질병은 아니지만, 분명한 신호입니다. 기능의학에서는 이 작은 변화를 놓치지 않고, 지금부터라도 혈당을 안정화함으로써 염증의 뿌리를 조기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중성지방과 HDL, 비율로 보는 진짜 대사 건강”을 주제로 단순 수치가 아닌 비율로 보는 심혈관 리스크 진단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전체 보기
- 1편: 건강검진 수치, 정상인데 왜 계속 피곤할까?
- 2편: 간수치(GOT, GPT) 높을 때 진짜로 해야 할 것
- 3편: 공복 혈당 90이 넘는다면 이미 염증이 시작된 것
- 4편: 중성지방과 HDL, 비율로 보는 진짜 대사 건강
- 5편: 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세요: 기능의학적 해석
- 6편: 갑상선 수치 정상인데 피곤한 이유 (TSH, fT4 해석법)
- 7편: 기능의학에서 보는 빈혈 – 철분이 아닌 산소 대사 문제
- 8편: 호모시스테인 수치로 보는 염증 & 혈관 리스크
- 9편: CRP와 ESR – 조용한 염증, 수치로 알 수 있다
- 10편: 내 건강검진 결과, 기능의학적으로 해석하는 법 총정리
반응형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7편“기능의학에서 보는 빈혈 – 철분이 아닌 산소 대사 문제” (0) | 2025.07.10 |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6편“갑상선 수치 정상인데 피곤한 이유 (TSH, fT4 해석법)” (0) | 2025.07.09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5편“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세요: 기능의학적 해석” (0) | 2025.07.08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4편“중성지방과 HDL, 비율로 보는 진짜 대사 건강” (0) | 2025.07.07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2편“간수치(GOT, GPT) 높을 때 진짜로 해야 할 것” (0) | 2025.07.05 |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1편: “건강검진 수치, 정상인데 왜 계속 피곤할까?” (0) | 2025.07.04 |
만성염증 리셋 시리즈 10편: “만성염증 해독 챌린지 플랜” (0) | 2025.07.03 |
만성염증 리셋 시리즈 9편 “기능의학적 염증 리셋 식단 가이드”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