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세요: 기능의학적 해석
건강검진에서 총 콜레스테롤이 230 나왔다고 걱정하셨나요? 병원에서는 ‘높다’며 약 복용을 권유하기도 하지만, 기능의학에서는 이 숫자만 보고 절대 판단하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한 오해를 풀고, 진짜로 주의해야 할 지표와 대사 건강을 지키는 기능의학적 해석을 안내드립니다.
총 콜레스테롤 수치는 큰 의미가 없다
기존 검사에서는 총 콜레스테롤이 200을 넘으면 고지혈증으로 진단되기도 하지만, 이 수치는 HDL, LDL, 중성지방 등을 모두 포함한 단순 합계일 뿐입니다. 즉, HDL이 높은 사람은 총 콜레스테롤도 높게 나올 수 있지만, 이는 오히려 건강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기능의학에서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다음과 같이 비율 중심으로 해석합니다.
콜레스테롤 관련 핵심 지표
지표 | 이상적 범위 | 설명 |
---|---|---|
Total Cholesterol / HDL 비율 | < 3.5 | 낮을수록 심혈관 건강 양호 |
LDL / HDL 비율 | < 2.5 | LDL의 위험도를 파악하는 지표 |
Triglyceride / HDL 비율 | < 2.0 | 대사증후군, 인슐린 저항성 예측 지표 |
LDL 입자 크기 (패턴 A vs B) | A형 (큰 입자) | 작고 밀도 높은 LDL(B형)은 더 위험 |
고콜레스테롤이 꼭 나쁜 것은 아니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세포막 구성 성분
- 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등) 생성
- 비타민 D 합성
- 담즙산 생산 → 지방 소화
즉, 콜레스테롤은 필수적인 생리 기능을 위한 기본 재료입니다. 문제는 ‘콜레스테롤 자체’가 아니라, 산화된 LDL, 작은 LDL 입자, 높은 염증 수치입니다.
콜레스테롤 관리의 핵심: 염증 & 산화 스트레스
콜레스테롤 수치보다 중요한 것은 혈관 벽의 염증입니다. 아무리 수치가 낮아도 염증이 있다면 플라크 형성 가능성이 높아지며, 오히려 기능이 건강한 고콜레스테롤 상태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기능의학적 콜레스테롤 관리 전략
- 산화 스트레스 줄이기 – 항산화 성분: 코엔자임Q10, 셀레늄, 비타민 E
- 항염 식단 – 오메가-3, 식이섬유, 녹색 채소 중심
- LDL 입자 크기 검사 – 국내 일부 병원 또는 기능의학 클리닉 가능
- 스트레스 완화 + 수면 개선 – 코르티솔 과다 → 콜레스테롤 불균형 유도
FAQ: 콜레스테롤 수치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 Q. 총콜레스테롤이 240인데 위험한가요?
- A. HDL이 높고 염증 수치가 낮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비율 중심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 Q. LDL만 높아도 약을 먹어야 하나요?
- A. LDL의 크기와 산화 상태가 중요합니다. 기능의학에서는 전체 맥락을 함께 봅니다.
- Q. 콜레스테롤 낮추는 가장 좋은 식단은?
- A. 지중해식 + 항염 식단이 가장 권장됩니다.
- Q. 콜레스테롤 약은 평생 먹어야 하나요?
- A. 경우에 따라 중단이 가능하지만,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조절해야 합니다.
맺음말
콜레스테롤 수치는 건강을 가늠하는 단 하나의 기준이 아닙니다. 오히려 수치를 둘러싼 전체적인 대사 상태, 염증, 식습관, 스트레스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정확한 건강 평가가 가능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갑상선 수치 정상인데 피곤한 이유”를 통해 TSH와 fT4, fT3 등 갑상선 기능 검사에 숨겨진 의미를 알려드릴게요.
📚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전체 보기
- 1편: 건강검진 수치, 정상인데 왜 계속 피곤할까?
- 2편: 간수치(GOT, GPT) 높을 때 진짜로 해야 할 것
- 3편: 공복 혈당 90이 넘는다면 이미 염증이 시작된 것
- 4편: 중성지방과 HDL, 비율로 보는 진짜 대사 건강
- 5편: 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세요: 기능의학적 해석
- 6편: 갑상선 수치 정상인데 피곤한 이유 (TSH, fT4 해석법)
- 7편: 기능의학에서 보는 빈혈 – 철분이 아닌 산소 대사 문제
- 8편: 호모시스테인 수치로 보는 염증 & 혈관 리스크
- 9편: CRP와 ESR – 조용한 염증, 수치로 알 수 있다
- 10편: 내 건강검진 결과, 기능의학적으로 해석하는 법 총정리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9편“CRP와 ESR – 조용한 염증, 수치로 알 수 있다” (0) | 2025.07.12 |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8편“호모시스테인 수치로 보는 염증 & 혈관 리스크” (0) | 2025.07.11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7편“기능의학에서 보는 빈혈 – 철분이 아닌 산소 대사 문제” (0) | 2025.07.10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6편“갑상선 수치 정상인데 피곤한 이유 (TSH, fT4 해석법)” (0) | 2025.07.09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4편“중성지방과 HDL, 비율로 보는 진짜 대사 건강” (0) | 2025.07.07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3편“공복 혈당 90이 넘는다면 이미 염증이 시작된 것” (0) | 2025.07.06 |
《기능의학 기반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2편“간수치(GOT, GPT) 높을 때 진짜로 해야 할 것” (0) | 2025.07.05 |
건강검진 리셋 시리즈 1편: “건강검진 수치, 정상인데 왜 계속 피곤할까?” (0) | 2025.07.04 |